좋은 글

달도 차면 기운다

開闢 2024. 2. 16. 15:45


[ 물극필반(物極必反) ]



사물이 극에 달하면 반드시 반전한다. 우리나라 속담 "달도 차면 기운다" 와 같은 의미입니다.



태조 이성계는 무학대사와 가끔 바둑을 두었습니다. 실력은 대등했으나 이기는 쪽은 언제나 이성계였습니다. 이에 이성계가 말합니다. ''대사는 나무를 보고 있지만, 나는 숲을 보는 중이라오."



무학대사는 잔 수에 밝았으나, 이성계는 대세에 밝아 반상을 두루 살피며 바둑을 두었던 것입니다.



그러던 어느날 이성계와 무학대사가 길을 가다가 한농부가 산밑에서 집을 짓고있는 광경을 보게 되었습니다.



풍수지리에 능한 무학대사는 그 농부가 3년안에 거부가 될거라고 말합니다.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들어설 자리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이성계는 반대로 "저곳은 몇년안에 폐허가 될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두사람이 내기를 약속합니다.



그로부터 3년후, 그곳을 지나던 무학대사는 자신의 생각과 반대로 폐가가 되어 있는 광경을 목격하게 됩니다. 그는 이 사실을 이성계에게 전했습니다. 그러자 이성계는 웃으며 "대사는 풍수지리에는 밝으나 대세를 판단하는 데에는 약하다 "고 충고합니다.



그 곳이 폐허가 된것은 무학대사의 풍수지리가 맞아 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대사의 예상대로 그 농부는 큰 부자가 되었습니다.



무학대사가 본것은 여기까지 입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부자가 된사람이 더이상 이런 골짜기에 살지는 않을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분명히 사람이 많은 곳으로 가서 떵떵거리며 살것이라고 판단한 것입니다. 그래서 그 집은 폐허가 되어 있었습니다.



무학대사는 풍수지리를 읽는 것에는 능했지만 이성계처럼 사람의 마음을 읽고 결과를 예측하는 데에는 부족했던 모양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배워야 할점이 있습니다. 집터가 명당임을 아는 것까지는 "배움의 영역" 이고, 부자가된 농부가 그 집을 떠날 것까지 보는것은 "비움의 영역" 입니다.



바둑에서는 이를 "통유" 의 단계라고 합니다. "통유" 란 채우는 단계를 지나 비움으로써 또다른 세계가 있음을 알고 이해하는 경지를 말합니다.



현재의 삶보다 더 높은 차원의 삶을 살아가려면 우리는 자기가 형성해 놓은 "자신의 틀" 을 깨고 나와야 합니다. 그래야 비로소 그동안 보지 못했던 다른 다양한 현상을 발견할수 있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옳을수 있어도 전체적으로 틀릴수 있다" 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물극필반! 달도차면 기웁니다. 지나친 욕심을 부리지 말라는 뜻입니다. 어제보다 더 행복한 한주간 되시길 기원합니다.

'좋은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느 기도문  (0) 2024.02.22
톨스토이의 세 가지 질문  (0) 2024.02.18
어떤 결혼식  (2) 2024.02.16
선생님과 사장님  (0) 2024.01.25
혼자 살 수 없는 세상  (2) 2024.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