십간(十干)과 십이지(十二支)를 짜 맞춘 것이 육십갑자(六十甲子)인데,
십간의 글자 다음에 십이지의 글자를 놓아 만듭니다. * 십간(十干) = 천간(天干) <- N(10) 1 2 3 4 5 6 7 8 9 10 갑
(甲) 을
(乙) 병
(丙) 정
(丁) 무
(戊) 기
(己) 경
(庚) 신
(辛) 임
(壬) 계
(癸)
* 십이지(十二支) = 지지(地支) <-N(12)
(참고) 十二時는 자(23시~1시)부터 해(21시~23시)까지 2시간 간격으로 나눕니다. 십간(10년×6회) = 십이지(12년×5회) = N(60년)
육십갑자는 계해년(60)을 끝으로 갑자년(61)부터 새로 시작됩니다.
하여 이해의 생일을 환갑(60년만에 돌아온다)이라 부릅니다.
<12년을 기준으로 나눈 육십갑자 조합 표>
|
![]() |
'일반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도는 알고있다 (0) | 2014.05.09 |
---|---|
[스크랩] 천부경(天符經), 81字 속에 숨겨져온 진실 (0) | 2014.04.03 |
[스크랩] [한글 맞춤법(문교부 고시 제88-1호)] ※ 인쇄하여 곁에 두고 보십시오! (0) | 2014.03.27 |
[스크랩] 성공한 인생 (0) | 2014.03.20 |
[스크랩] 大韓民國 國民이면 꼭 알아야할것 (0) | 2014.02.24 |